자료실

자료실

Company Introduce

Home > 자료실 > 자료실

자료실

[프로그램] 시설노인을 위한 수분섭취 관리프로그램의 효과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8-04-13 조회수 : 2050
파일첨부 : 노인요양시설 미네랄 워터 효과.jpg 시설노인을 위한 수분섭취 관리프로그램의 효과.pdf

 


시설노인을 위한
수분섭취 관리프로그램의 효과


우리나라는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2009년에 총 인구의 10.7%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KoreanNationalStatisticalOffice,2009).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의 대부분이 2-3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을 고려해 볼 때(안동희,2010)노인 인구의 급속한 증가는 노인 의료비 증가를 예측할 수 있다(신경림과 변영순,2008).노인 증가와 관련된 우리나라 노인 의료비 증가에 대한 추이를 살펴보면 1985년
에 5.4%에 불과한 것이 2010년에 30.1%,2030년에 47.9%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는 심각한 사회적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Korean NationalStatisticalOffice,2008).그리고 종래의 노인 돌봄의 주축이 되었던 가족 기능의 한계와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이를 대신 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과 국가적 차원에 의한 돌봄의 필요성을 촉구하게 되었다(이주석,2010). 이와 같은 사회적 요구로 인하여 2007년 4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공포되었고,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실시하게 되어(Ministry forHealth,Welfare andFamilyAffairs,2009),범국가적 차원에서 전문 인력에 의한 노인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노인요양시설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박영숙,2010;신경림과 변영순,2008;이주석,2010).노인요양시설은 이제까지 가족이 맡아 왔던 노인 만성질환자를 국가와 사회가 그역할을 분담하기 위하여 설치 및 운영되는 시설로(Ministry forHealth,WelfareandFamilyAffairs,2009;신경림과 변영순,2008),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규정에맞추어 무료 또는 저렴한 요금으로 간병․수발,목욕,간호․재활 등의 일상생활에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노인복지법,2010;이승희,2006).선행연구에 따르면 노인요양시설에서 관리를 받는 대상자는 건강상태가 좋지 않고,신체적 의존성이 높은 노인이므로(이주석,2010;임세현,장성옥,서경희와 이수정,2010),가정에 거주하는 일반노인들에 비해 만성질환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가 더 심각하다(양윤정과 김정희,2007;임세현,장성옥,서경희와 이수정,2010).특히일상생활의 수행정도가 어려울 정도로 의존도가 높은 노인일수록 간호사의 중재가매우 절실한데(신경림과 변영순,2008),그에 비해 불충분한 시설내 간호 인력으로노인들의 문제를 사정하고 필요한 돌봄을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이선희,2009).요양보호사의 교육훈련 또한 질적수준 보다 양적수준의 배출에 급급하여 전문적관리를 요구하는 만성질환자를 관리하는데 한계를 가져와(이주석,2010)노인들은
시설에 입소 후 질환의 경과가 더욱 악화될 우려가 있다.따라서 시설노인들은 급성감염,진행되는 만성질환 등과 같은 2차적 건강문제에 대다수가 노출이 되어 심각한 건강문제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박명숙,2010;박명숙과 최스미,2008).미국의 경우 시설에 입소한 노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방편으로 Minimum DataSet(MDS)도구를 이용하여 시설노인의 건강상태를 주기적으로 사정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고(Menteset.al.,,1998;2006),특히 MDS에 노인의 탈수유무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포함시켜 간호사들이 노인들의 수분섭취 상태를 사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Mentes& I-VANRC,2000).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시설노인들의 1일 수분섭취량에 대한 국외 문헌을 보면 장기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수분섭취량은 실제 권장량에 비해 29-48% 정도 부족한 실태로 보고되고 있다(Gordon,An,Hayward,& Williams,1998;Adams,1998;Armstrong-Esther,Browne,Armstrong-Esther,& Sander,1996;Chidester,&
Spangler,1997).국내에서 노인의 수분섭취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나오희영 등(2007)의 연구에 의하면 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경우 약 31-52%에서 수분부족 상태라고 보고하였는데,이는 시설노인의 수분부족 상태가 매우 심각한 정도에 놓여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제도적 규제가 없고 단지 시설자체에 일임하는 정도로 그 대처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시설노인에게 있어 수분섭취 부족이 발생하는 요인으로는 노인들은 노화와 관련하여 수분부족에 대한 인지력이 떨어지고 생리적 대처 기능의 감소로(Mentes,&Culp,2003;Popejoyetal,2000)일반 성인들에 비하여 쉽게 탈수를 경험하게 된다
(KristinLarson,2003).또한 노화로 인한 감각기능의 감퇴는 수분섭취에 대한 욕구를 저하시키고(Grossetal,1992;Macketal,1994),인지 및 의사소통 기능 저하,
연하곤란,만성질환,기동력 저하 등으로 인하여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데 장애를초래한다(Chernoff,1994;Levi,2005)
.또한 노화와 관련된 배뇨장애로 흔히 발생하는 요실금과 빈뇨 등의 증상은 노인 스스로 수분 섭취를 거부하게 되는 요인이 되기도 하며(Kayser-Jones,Schell,Porter,Barbaccia,& Shaw,1999;Menteset.al.,1998;Mentes& I-VANRC,2000),노인시설의 재정적 문제와 관련된 간호인력 부족은 노인에게 주기적으로 수분섭취 사정과 규칙적으로 수분을 제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된다(Kayser-Jones et.al.,1999; Mentes,& Culp,
2003).이러한 요인들로 인하여 시설 노인들은 대부분 탈수를 경험하게 되고(Menteset.al.,1998;Mentes,& Culp,2003),탈수는 노인들에게 요로감염,변비,피부건조증,체중저하,기립성저혈압 등의 신체적 문제 등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어(Gordon,An,Hayward,& Williams,1998;Menteset.al.,1998;Mentes& I-VANRC,2000),심각하게는 병원입원 혹은 생명의 위협까지 초래하게 된다(Kayser-Jones et.al.,1999;Mentes,& Culp,2003).
이상과 같이 노인들에게서 발생하는 수분섭취 부족으로 인한 건강문제는 노인 의료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주요인이 되기도 하는데(Gordon,An,Hayward,&
Williams,1998),그러나 노인들의 건강문제 중 수분섭취 부족으로 인하여 초래되는건강문제는 간호사의 중재로 인해 충분히 예방 가능함으로 이는 노인 의료비 상승을 억제하는데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건강문제에 대한 일차적 관리자인 간호사의 역할을 고려할 때 노인시설의 간호사가 시설노인의 수분섭취 관리를 중재하는데 필요한수분섭취 관리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전글 수소 분자 관련 321개 논문 분석 mechanisms of molecular hydrogen -comprehensive review of 321 original article
다음글 요양시설 거주 치매노인의 수분섭취 실태 및 영향요인